반응형
반응형

38장.

성숙한 사람은 두꺼운 데 머무르고, 얄팍한 데 거하지 않습니다.

열매에 머무르고, 꽃에 거하지 않습니다.

 

훌륭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하지 않습니다. 작위, 인위가 아닌 순리에 따른 행동이었으므로, 의도하지도 의식하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상덕, 하덕으로 구분하며 다시 하덕을 인, 의, 예로 구분하고 있다. 상덕은 "무위", 하덕, 인, 의, 예는 "작위, 인위"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하덕의 구분을 "인"은 그 작위의 이유, 바라는 대가가 없음, "의"는 그 작위의 이유, 바라는 대가, 의도가 있음, "예"는 그 작위, 인위를 타인에게 까지 강요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표현함. 도, "우주적 원리"가 없어지면, 덕, "무위"가 나타난다. 덕이 사라지면, 유위이나 그 의도에 따라 인, 의, 예가 순서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마치 인은 유가를, 예는 법가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으며, 그렇다면 노자는 모든 사상을 다 알고 있었으며, 그런 사상을 다 포괄하여 이처럼 도가를 주장한 것인가. 어쨌든 예는 얄팍한 것이고, 혼란을 불러올 뿐이라며 경계하고, 근원인 도에 머물 것을 주의시킨다. 37장까지는 "도"가 주를 이루었다면, 38장부터는 "덕"경이라 하여 덕이 나온다. 마치 도>덕>인>의>예 인 것처럼 쓰여 있어 도와 덕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고민하면서, 이번 장 읽기가 많이 지연되었다. 아직도 잘 모르겠으나, "도"는 더 추상적인 원리에 가깝고, 이의 한 형태가 무위로써 "덕"인 것 같다.

+(추가) "처음 만나는 도덕경" 책을 빌려 38장만 발췌독 하였다. 아무리 좋은 의도로 하는 좋은 행동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고집하고 그것에 집착하는 순간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과의 갈등과 충돌이 필연적으로 야기된다. 그래서 결국 애초의 의도와는 달리 나쁜 것으로 변질되고 만다. 그러니 그것이 무엇이건 절대 고집하고 강요하지 마라.

 

39장.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닙니다.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하지 말고,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내십시오.

 

모든 자연의 만물이, 자연 그대로일 수 있게 하는 무엇, 그 원리 '하나'. 지금 존재하는 모습은 다르나 지금 존재 일 수 있게 하는 근원에는 단 하나의 근원이 있다. 모든 높은 것, 귀한 것도 다 근원에서 시작하였으니, 근원을 잊으면 안된다. 지금 모습도 근원의 무한한 가능성 중 하나가 발현된 모습으로, 우리는 근원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모습을 경외하고, 오히려 한 가지 능력이 발현된 지금은 오만을 경계해야 한다.

 

40장.

온 세상 모든 것 "있음"에서 생겨나고, 있음은 "없음"에서 생겨났습니다.

 

순환의 원리를 말하고 있으며, 그 우주적 원리인 "순환"이 어떤 강한 작위나 인위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의식조차 할 수 없을만큼 작은 변화가 쉼없이 이루어짐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Day27


도랑에 버려진 Rocket은, 도랑이 아니라 요즘 유행하는 온천일거라며, 휴식이 필요한 자신을 배려하기 위해 이곳으로 보낸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기 중심으로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하는 개구리를 만나고, 개구리는 자기가 할 말만 하고 사라져버린다.

* 단어장 
recruit [젊음·건강·힘 등을] 되찾다, 회복하다
shattered 산산이 부서진, 손상된
mottled 얼룩덜룩한, 얼룩의
entrancing 넋을 잃게 하는, 매혹적인
gratifying, 만족을 주는, 유쾌한, 기분 좋은  
complacently 현실에 안주하여, 자기만족적으로
vulgar 저속한, 천박한
irritating 짜증나는, 화나게 하는
ill-bred 버릇없이 자란
detestable 증오하는, 몹시 싫은
temperament 기질, 성격
avail 소용되다, 쓸모있다
provincial 지방의, 시골의

독단,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있는 Rocket은 우연히 자신보다 더 강력한 (우물안) 개구리를 만난다. 타산지석으로 자신을 돌아보라는 계시였던 것 같은데... 그는 여전히 정신을 못 차린듯 하다. 어떤 이야기가 계속 될지 궁금하다.
반응형
반응형

엄마와 단둘이 보내야 하는 주말 아침.
또콩이와 엄마는 선유정보문화도서관에 간다.

집에서 차로 3분이면 가는 거리라 아침밥 먹고 가면 이른 시간이라 사람도 많지 않고 좋다.

주차는 지하에 8-9자리 정도 있는데 주말 오전엔 10시가 넘으면 거의 만석이다 ㅜㅜ

또콩이와 엄마는 1층 유아 열람실로 간다.

​​

자동차 책을 좋아하는 또콩이

유아열람실은 어린이 열람실과 연결되어 있는데 ​​좌식에 책상이 있는 구조이고 안에 수유실​이 있다.
아주 깨끗한 편은 아니지만 아기 침대도 있고 쇼파도 있어서 수유나 기저귀 교환도 가능하다.



이날 또콩이의 첫번째 책은 ‘‘타세요 타세요’’

​기차타고 모래놀이 장난감과 친구들을 태우고 바다에서 모래놀이를 하게 되는 내용이다. 의성어 의태어는 물런 앞,뒤 같은 위치개념도 익힐수 있다. 글밥이 많지 않아 돌 전 아기부터 말하기 시작한 두돌전후 아기까지 두루두루 잘 볼수 있을것 같다.




두번째 책은 ‘‘ 한입에 덥석 ’’

큰수박을 저마다의 방법으로 먹는 동물친구들의
이야기 이다. 이건 엄마가 맘에 들어서 읽게 됐는데 여러 동물 친구들이 나와 다들 다른 생김새로 수박을 먹는데 먹는 소리나 베어문 모양에서 의태어 모양 등의 개념도 알수 있고, 여름에 수박을 맛있게 먹은 기억이 있다면 아이들이 더 신나게 잘 읽을 수 있을것 같다.
(또콩이는 ​수박​을 너어어어어어무 ​좋아한다​)




세번째 책은 ‘‘ 크레인 크레인 ’’

​중장비를 너무 좋아하는 또콩이를 고른책이다.
역시나 반응이 좋았고 크레인이 무슨일을 하는지 아기자기한 그림아래 설명이 되어 있고 스토리도 감동적이다.




네번째 책은 ‘‘​​ 아주 바쁜 거미 ’’

​거미를 좋아하는 지웅이가 ​직접골라온 책​이다.
에릭 칼 그림으로 색감도 너무나 이쁘고 따뜻하다.
이 책은 씨디도 같이 있는거라 같이 대여해서 집에서도 보고 있다.

이렇게 한글 동화책 말고도 영어 원서 동화책들도 많다.

아기와 같이 주말마다 도서관에 오기 시작한건 한달 정고 됐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크길 바라는 마음에 책과 친해지기 위한 일이었는다. 처음엔 가만히 있지 못하고 돌아다니기 바빴는데 요즘엔 책상에 앉아 엄마가 읽어주는 책을 귀기울여 듣는다.

무엇보다 좋은것은 책 이야기를
하며 아기와 눈 마주치며 도란도란 이야기 할수 있다는것이다.

다음주엔
​또 무슨책 읽어 볼까 우리아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