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51장.

도(道)는 모든 것을 낳고, 덕(德)은 모든 것을 기르고, 물(物)은 모든 것을 꼴지우고, 세(勢)는 모든 것을 완성시킵니다.

 

그러면, '나'란 존재는 도가 낳고, 덕이 기르고 물과 세에 의해서 완성되었거나, 완성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마치 나는 나의 근원을 잊고, 태어난 이후 접한 물과 세가 마치 나인 것처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더욱 나의 근원에는 도와 덕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세상만물이 도와 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순리가 아니라 생각하면 언제든 나의 근원인 "도"로 돌아가 순리에 따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언제든 내가 습득한 지식, 경험을 비우고 매순간 완전히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52장.

세상 만사에는 시작이 있는데, 그것은 세상의 어머니입니다. 어머니를 알면, 그 자식을 알 수 있습니다.

 

'도'를 알면, 만물을 있게 한 '도'를 알면, '만물'을 알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우리는 눈으로 보이고, 귀로 들리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현재 결과물을 보고 원인이 있었음을 알 뿐이고, 이는 진짜 근원이 아니다. 우리의 인식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진짜 어머니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진짜 어머니 '도'를 알기 위해서는 입, 코, 귀 등의 감각기관을 닫아야 한다. 우리의 한계가 있는 인식으로 무언가를 해석하려는, 특히 이원론적 의식을 멈출 것을 말하고 있다.

 

53장.

내게 겨자씨만한 앎이 있다면, 대도의 길을 걸으며, 이에서 벗어날까 두려워하리이다.

대도의 길이 그지없이 평탄하나 사람들 곁길만 좋아합니다.

 

화려한 조정과 잡초가 무성한 밭, 텅빈 곳간과 비단옷 이런 상반되는 상황은 사실 다 하나이고, 변화를 통해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마치 지금 그 순간이 자기 것인양 즐기는 것이 도둑이 아니고 무엇이겠냐고 묻고 있다. 엄청난 기술진보를 이룩한 지금이나, 그때나 사람사는 사회 모습은 다 비슷한가보다.

반응형
반응형

48장.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가는 것. 없애고 또 없애 함이 없는 지경에 이르십시오.

함이 없는 지경에 이르면 되지 않는 일이 없습니다.

 

학문의 길은 하루하루 새로운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나,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가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인식의 한계가 있는 우리의 감각으로 이해하려하고 지식을 쌓아가기 때문에, 최초의 완전한 도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그동안 쌓아온 편견, 절대적이라 믿었던 지식들을 버려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강남 선생님께서는 그것을 특히 이분법적 사고라 말씀하고 계시다. 함이 없는 지경, 즉 무위에 이르면 모든 일이 순리에 따르게 되므로 되지 않는 일이 없게 된다.

 

49장.

선한 사람에게 나도 선으로 대하지만, 선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선으로 대합니다. 그리하여 선이 이루어집니다.

 

성인에게 고정된 마음이 없다는 것은 어떤 지식을 절대적이라 믿는다거나,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말하는 것 같다. 성인은 자기와 다르다고, 즉 선이 아니거나 신의가 아니라고 배척하지 않고, 다 포용한다. 모두 갓난 아기처럼 대하는 것이다. 편견, 단편적인 지식들을 배우기 이전의 상태, 가장 함이 없는 존재이다. 배고프면 울고, 졸리면 자고, 좋으면 웃고. 어떤 것을 바라지 않고, 그냥 순리에 따를 뿐이다. 아기를 대할 때 우리는 어떠한가. 왕의 아기든, 도적의 아기든, 그 아이에게 어떤 조건이나 이해타산을 목적을 대하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 역시 가장 함이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50장.

듣건대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육지에서 외뿔난 들소나 범을 만나지 않고, 전쟁터에서 무기의 상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들소는 그 뿔로 받을 곳이 없고, 범은 그 발톱으로 할퀼 곳이 없고, 무기는 파고들 곳이 없다고 합니다.

 

죽음 역시 우주의 원리다. 변화의 원리에 따라 태어나고 또 죽는 것이다. 오강남 선생님은 우리의 삶은 이런 의미에서는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기간을 소비하면서 죽어가는 것이라 말씀하신다. 죽어가는 연습도 중요하다고..주어진 삶을 성실하고 아름답게 살지만 걱에 집착하지 않는 의연함이라...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장이다. 들소, 범, 전쟁터의 죽음은 무언가 순리가 아닌 인위적인 죽음 같다. 따라서 순리대로 사는 사람은 순리대로 갈 뿐이다.

반응형
반응형

46장.

화로 말하면 족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허물로 치면 갖고자 하는 욕심보다 더 큰 것이 없습니다.

 

세상이 '도'를 따르면, 만물이 본래의 목적에 따라 순리대로 쓰여진다 또는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만족할 줄 모르고 욕심을 부려 '도'를 저버리게 되면, 자신뿐만 아니라, 만물을 본연의 순리대로의 삶이 아닌, 인위적인 삶을 살게하여 힘들게 한다. 어디서 읽었는지 잊어버렸는데, 누군가 이렇게 말했었다. 현대사회 사람들은 젊을 때는 돈을 벌기 위해 건강과 젊은 육체, 시간을 탕진하는데, 나이가 들어서는 건강과 젊은 육체, 여가를 회복하는 데에 모든 돈을 쏟아 붓는다고. 정말 아이러니 한 상황이다. 만족을 모르면 그 욕심으로 인해 잃은 것들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와 똑같은 삶을 쳇바퀴 돌 듯 살게 되는 것이다. 사실 나도 잘 살고 있지 않은데, 내가 이런 말을 하고 있다니..반성하게 된다. 그리고 내가 이런 생각까지 하게 되다니... 정말 좋은 책을 만나게 되어 감사하다.

 

47장.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다 알고, 창으로 내다보지 않고도 하늘의 도를 볼 수 있습니다.

 

진정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밖으로는 무엇을 더 배우려기보다는 자기자신부터 알아야 한다는 의미인 것 같다. 자기자신이 곧 우주이므로. 요즘 많은 도서들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 뇌가소성, 인간의 뇌가 우주보다 더 많은 비밀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간의 마지막 탐구는 우주여행이 아니라 뇌가 될거라는 책, 외향만을 쫓다보니 자기자신을 잃은 현 젊은세대, 힐링, 소확행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 등 노자는 이미 2000년전에 자기자신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꿰뚫어 본 것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 한편으로는 만물은 순리대로 흘러가므로, 그 순리를 이해하면 방안에서도 세상만사를 다 알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