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장.

성숙한 사람은 두꺼운 데 머무르고, 얄팍한 데 거하지 않습니다.

열매에 머무르고, 꽃에 거하지 않습니다.

 

훌륭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하지 않습니다. 작위, 인위가 아닌 순리에 따른 행동이었으므로, 의도하지도 의식하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상덕, 하덕으로 구분하며 다시 하덕을 인, 의, 예로 구분하고 있다. 상덕은 "무위", 하덕, 인, 의, 예는 "작위, 인위"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하덕의 구분을 "인"은 그 작위의 이유, 바라는 대가가 없음, "의"는 그 작위의 이유, 바라는 대가, 의도가 있음, "예"는 그 작위, 인위를 타인에게 까지 강요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표현함. 도, "우주적 원리"가 없어지면, 덕, "무위"가 나타난다. 덕이 사라지면, 유위이나 그 의도에 따라 인, 의, 예가 순서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마치 인은 유가를, 예는 법가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으며, 그렇다면 노자는 모든 사상을 다 알고 있었으며, 그런 사상을 다 포괄하여 이처럼 도가를 주장한 것인가. 어쨌든 예는 얄팍한 것이고, 혼란을 불러올 뿐이라며 경계하고, 근원인 도에 머물 것을 주의시킨다. 37장까지는 "도"가 주를 이루었다면, 38장부터는 "덕"경이라 하여 덕이 나온다. 마치 도>덕>인>의>예 인 것처럼 쓰여 있어 도와 덕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고민하면서, 이번 장 읽기가 많이 지연되었다. 아직도 잘 모르겠으나, "도"는 더 추상적인 원리에 가깝고, 이의 한 형태가 무위로써 "덕"인 것 같다.

+(추가) "처음 만나는 도덕경" 책을 빌려 38장만 발췌독 하였다. 아무리 좋은 의도로 하는 좋은 행동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고집하고 그것에 집착하는 순간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과의 갈등과 충돌이 필연적으로 야기된다. 그래서 결국 애초의 의도와는 달리 나쁜 것으로 변질되고 만다. 그러니 그것이 무엇이건 절대 고집하고 강요하지 마라.

 

39장.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닙니다.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하지 말고,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내십시오.

 

모든 자연의 만물이, 자연 그대로일 수 있게 하는 무엇, 그 원리 '하나'. 지금 존재하는 모습은 다르나 지금 존재 일 수 있게 하는 근원에는 단 하나의 근원이 있다. 모든 높은 것, 귀한 것도 다 근원에서 시작하였으니, 근원을 잊으면 안된다. 지금 모습도 근원의 무한한 가능성 중 하나가 발현된 모습으로, 우리는 근원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모습을 경외하고, 오히려 한 가지 능력이 발현된 지금은 오만을 경계해야 한다.

 

40장.

온 세상 모든 것 "있음"에서 생겨나고, 있음은 "없음"에서 생겨났습니다.

 

순환의 원리를 말하고 있으며, 그 우주적 원리인 "순환"이 어떤 강한 작위나 인위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의식조차 할 수 없을만큼 작은 변화가 쉼없이 이루어짐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