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어느 날 장주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다.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되어 유유자적 재미있게 지내면서도 자신이 장주임을 알지 못했다.

문득 깨어보니 다시 장주가 되어 있었다.

장주가 나비가 되는 꿈을 꾸었는지 나비가 장주가 되는 꿈을 꾸었는지 알 수가 없다.

장주와 나비 사이에 무슨 구별이 있기는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을 일러 '사물의 변화(物化)'라 한다.

 

아주 유명한 이야기이다. 키아누 리브스가 주연했던 "매트릭스"라는 영화가 이 일화에서 비롯되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실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럴 듯한 이야기이다. 장자가 나비 꿈을 꾼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장자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인지. 영화 "매트릭스"에서 네오 또한 꿈에서 깨어나면서, 현실이라고 생각했던 곳이 현실이 아님을 알게 된다.  

 

재미있으면서도 난해한 이야기이다.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일까? 나비가 곧 나고, 내가 곧 나비라는 것인가? 이 둘은 어느 것이 꿈인줄 모르므로 구별이 불필요하다는 것인가? 이에 장자는 무슨 구별이 있기는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것을 '사물의 변화(物化)'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 이 '사물의 변화'가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장주가 나비가 되는 꿈을 꾸었는지 나비가 장주가 되는 꿈을 꾸었는지... 즉, 장자가 보는 세계는 모든 사물이 서로 얽히고 설킨, 장주가 나비가 되고 나비가 장주가 될 수 있는 상호합일, 상호침투, 상호연관, 상호의존, 상호변화하는 세계를 말하고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장석주 시인의 "대추 한 알"이라는 시를 보자.

 

(중략)...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벼락 몇 개,
저 안에 번개 몇 개가 들어서서
붉게 익히는 것일 게다.

저게
저 혼자서 둥글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저 안에 땡볕 두어 달,
저 안에 초승달 몇 달이 들어서서
둥글게 만드는 것일 게다. 

(중략)...

 

장석주 시인은 대추 한 알을 그저 대추로 보지 않고, 대추를 있게 한 다른 요소들을 보고 있다. 태풍, 천둥, 벼락, 무서리, 땡볕, 초승달 .... 이러한 요소들이 대추 한 알에 들어 있다고 노래한다. 태풍, 천둥, 벼락, 무서리, 땡볕, 초승달 그리고 대추는 위에서 말한 상호합일, 상호침투, 상호연관, 상호의존, 상호변화의 관계라 할 수 있다. 태풍이 대추고, 대추가 천둥이면서도 서로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것이 '사물의 변화'이다.

 

그리고 장자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자유롭게 넘나드는 "절대자유"의 경지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집착을 버리고, 아집, 편견, 자기중심주의, 오만 등의 태도를 경계해야함을 말하고 있다.

 

반응형
추운 겨울에는 또콩이랑 어디로 놀러갈 지가 항상 고민이다. 이번 주말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키스해링' 전시를 보러 가기로 하였다.

지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엘리베이터를 탔는데, 자연스레 아기를 데리고 있는 부모들 무리와 합쳐져 이동하였다.

읭? 근데 도착한 곳은 키스해링 전시관이 아닌 "디자인 감각놀이터 디키디키" 였다.ㅋㅋ

밖에서 얼핏 보니 또콩이가 뛰어놀기 딱 좋은 것 같아, 계획을 급수정! 현장에서 결제를 하고 입장하였다.

첫느낌은 엄청 넓다는 것...

 

우리가 입장하였을 때는 크리스마스 트리앞에서 산타할아버지가 아이들과 사진을 찍어주고 있었다 ㅋㅋㅋ 


 

전경. 엄청 넓음. 또콩이가 무조건 뛰어놀기딱 좋음.

 

엄청 큰 블록이다. 아빠엄마랑 집을 만드는 애들도 있었고, 자동차를 만드는 애들도 있었다.

 

2층 미끄럼틀 위에서 입구쪽을 바라보며 찍은 실내모습. 가운데에도 동그랑 공간안에 야채 인형들과 레고, 듀플로 같은 조립공간이 있다.

 

이렇게 놀 것이 많음에도... 우리 또콩이는 양말을 벗겨주자마자 붕붕이한테로 달려간다.ㅡ,.ㅡ; 나무테이블 위에서도 움직여보고, 밑에 깔린 자동차 도로 매트위에서도 자동차를 움직여본다.

 

시간이 지나니, 조금씩 다른 것에도 관심을 보인다. 집모형 앞에서 엄마랑 역할놀이도 해보고, 작은 막대들로 이루어진 보드앞에서 손바닥을 쑥 밀어보고, 손바닥모양으로 쑤욱~들어가는 것에 신기해하고, 반대편에서 다른 형아들이 다시 밀면 다시 튀어나오는 것에 신기해한다. ㅋㅋ

조금 더 뛰어놀게 유도해보았다. 저기에는 뭐가 있을까~라면서 데리고도 가보고. 여기 2층공간에는 책을 읽는 곳이 있다.

 

오늘 저녁 또콩이의 꿀잠을 위해 몸으로 놀아주기 시작! 엄마가 거미에게 잡혀가서 거미줄에 갇혀 있다고 말하니, 울먹이면서 엄마를 구출하러 가자고 한다 ㅋㅋㅋ무서워도 "아빠 손을 잡아주세요~~" 이러면서 앞장서서 나간다 ㅋㅋㅋ기특♥

 

흔들흔들 징검다리도 건너보고, 울퉁불퉁 오르막길도 영차영차 혼자 올라가본다.

 

2층으로 가는 다양한 길이 있다. 막대숲을 지나, 창문으로 2층 공략!

 

1층 공간에는 토끼굴거미줄, 거미둥지가 있다 ㅋㅋㅋ 처음엔 무서워하더니 익숙해지니 터널을 통과하는 이 구간을 무한반복하기 시작한다 ㅋㅋㅋ에너자이저모드!

 

 

공간 가운데에 쌓여 있는 통나무모양의 쿠션을 잡고는 로보카폴리 구조본부에서 타이어를 바꿔 끼워야 한다며 굴리면서 다닌다 ㅋㅋㅋ

조심성이 많은 또콩인데, 익숙해지니 씩씩하게 암벽등반도 해본다 ㅋㅋ 문화센터에 트니트니 데려가면 오르막길 기어오르는 것을 잘 안해서 속상했는데^^ 기특하다.

 

급 계획을 변경하여 우연히 데려왔는데, 넓은 공간안전하고 다양한 놀이기구! 왠만한 키즈카페보다 더 가성비가 좋았다.^^ 추천!!

 

 

반응형

 

 

 

 

 

 

"책꽂이"라는 어플을 통해 읽은 책을 관리하고 있다. 돌아보니, 2018년에는 80권의 책, 1달 평균 6.7권의 책을 읽었다.

특히 1월에는 18권의 책을 읽었다. 사실 2018년은 1일 1권을 목표로 야심차게 독서를 시작한 한 해였다. 1, 2월은 인사모드라 그래도 많은 독서가 가능했으나, 인사 후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한 4월에는 1권 밖에 못 읽었으며, 8월에 다낭으로 가족휴가를 다녀온 후에는 리듬이 많이 깨져 9월에 3권밖에 읽지 못했다. 그래도 4월을 제외하고는 평균적으로 최소 주1권의 독서를 할 수 있어서 뿌듯하다.

 

올해 읽은 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아무래도 칼 세이건코스모스이다. 분량도 엄청났지만, 그저 과학책인 줄 알았는데, 인류를 포함한 우주의 모든 역사를 담은 책이었다. 내 자신이 이 책을 읽어냈다는 사실이 대견하다.

그리고 베스트셀러와 자기계발을 벗어나 읽기도전한 도덕경금강경 독서도 재미있었고 나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된 독서였다. 두 권의 책 역시 그저 듣기 좋은 말이 아닌 과학적인 내용과 이천년이 지난 지금에도 충분히 유용한 내용들이 많았다. 현재 읽고 있는 장자 읽기도 빨리 끝내야 하겠다.

 


연초 계획 대비 완수하지 못한 계획은, 좋아하는 책 1권 필사하기를 못했고, 대망료마가 간다다시 읽기로 계획했으나, 읽지 못한 점이다. 그리고 춘추전국이야기를 사놓고 읽지 못하였다.(춘추전국이야기를 구매할 때 받은 영웅술잔으로 술은 잘 마시고 있다^^;)

 

계획에 없던 독서로는 중간에 영어원서 읽기를 시작하였다. 이것을 포함하면 읽은 독서량이 10권정도 더 늘겠지만^^; 책의 분량이나 내용의 난이도나 양심상 포함할 수가 없다. ㅋㅋ 그래도 새로운 시도였으며, 내 자신이 기특하고, 당연히 2019년에도 계속할 것이다.

 

부족한 점은 분야가 자기계발서 위주로 집중된 점이다. 소설 분야 독서 2권이다.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2019년에는 소설도 좀 읽고, 경제경영 분야의 독서량도 늘려야 하겠다. 그리고 2019년에는 올해보다 독서량을 조금 더 늘려 주당 2권정도의 책을 읽어 100권정도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