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위 공자 열전
- 전국 4공자 중 신릉군의 이야기이다. 문지기를 상석에 모시기 위해 마차를 몸소 끌고, 문지기가 푸줏간 백정친구를 보고 가자는 청도 다 들어주며, 결국 그는 "선비에게 몸을 낮출 줄 아는 장자"라는 평을 얻고, 더 많은 선비들을 모으게 된다.
유비가 생각났다. 상산옹을 업고 물을 건너고, 다시 되돌아가자는 상산옹에게 화내지 않고 다시 물을 건너면서, 화 내고 가버리면 이전에 베푼 친절까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릴까봐 그리하였다는 유비의 일화. 삼고초려도 유사하고.
인재, 날 위해 능력을 내어줄 사람을 얻기 위해서는 "그 사람을 진정 알아주어야 하는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군대에 있으면 아버지가 돌아가고, 형과 동생이 함께 군대에 있으면 형이 돌아가라. 외아들로서 형제가 없는 자는 돌아가 부모를 모시도록 하라."
이런 리더가 있을까ㅜㅜ

"세상일에는 잊으면 안되는 것이 있고, 또 잊어야만 하는 것이 있습니다. 남이 공자에게 베푼 은덕은 잊으면 안됩니다. 그러나 공자께서 다른 사람에게 베푼 은덕은 잊으시기 바랍니다. 또 위나라 왕의 명령이라 속여 진비의 군사를 빼앗아 조나라를 구한 것은 조나라의 입장에서는 공을 세운 것이지만 위나라의 입장에서 보면 틀림없이 충신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런데 공자께서는 스스로 교만해져 공로가 있다고 하시니, 이는 공자로서 취할 태도가 아닙니다."

이런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사람들이 곁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운인가..이런 생각이 들면서도 이들을 얻기 위해 신릉군이 들인 노력은 얼마나 또 대단하거나, 이들이 충성한 그의 인간적 매력은 무엇이었을까.
공자라는 그의 위치때문이었을까? 아니면 그는 진정 자신의 빈객들을 알아주는 유일한 주인이었을까. 그리고 이러한 날카로운 직언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그의 배포. 엄청 거슬렸을텐데...멋있다.
맹상군 열전에 이어 이들 전국4공자는 인간의 기본적인 도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이용하여 빈객을 등용하고, 또 정작 본인에게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도리를 저버리는 행위에 대해서는 관대히 수용하고 있다. 그릇이 크다..라는 말이 맞겠다.

춘신군 열전
- 전국4공자 중 마지막.
"세상에는 생각지도 않던 복이 찾아올 수도 있고, 또 생각지도 않은 재앙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지금 당신은 생각지도 못한 행복과 재앙이 찾아오는 세상에 살고 있고, 기대를 걸 수 없는 군주를 섬기고 계십니다. 어찌 재앙을 막아낼 수 있는 뜻밖의 인사를 구해 두지 않으십니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문장이다. 마치 예측불허의 지금 세상과 너무 유사하다는 생각도 들고, 춘신군은 이 조언을 듣지 않아 재상이 된지 25년차에 죽게 된다. 장기간의 영예가 그를 둔하게 만든 것일까. 훌륭한 빈객들이 있더라도 그들의 직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늘 깨어있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사기 열전 (김원중 역)

상군 열전

소진 열전

- 합종책으로 진나라를 견제하고 6개국의 재상이 된 사람이다. 말로써 전국시대를 살아간, 유세가인데 정말 대단하다. 전략을 팔고 다니며 고용을 원하고, 부귀를 누리고. 상상이 되지 않는다. 어찌되었든 진나라를 15년동안 묶어둔 것은 대단하다고 할 수밖에.

장의 열전

- 소진이 있다면 진나라에는 장의가 있다. 합종 책을 깨기 위한 그의 연횡책도 대단하다. 세상을 말, 전략으로만 살아온 둘. 어찌 보면 현대도 비슷하다는 생각도 든다. 누가 좋은 정책을 내고, 좋은 보고서를 써내는가.

저리자, 감무 열전

양후 열전

백기, 왕전 열전

맹자, 순경 열전

맹상군 열전

- 사람을 얻고, 그로 인해 부와 명예를 얻고, 위기를 넘긴 사람. 사재로 평소에 다양한 재주를 가진 많은 빈객들을 모았는데,  쓸모없어 보이는 재주들도 맹상군에게 다 도움이 되었다. 어찌 보면 맹상군이야 말로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관계를 잘 이용한 사람이다. 평소에 잘해주고, 어려울 때 도움받는 것이다.

풍환이 말하였다.

"... 만물에는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결과가 있고, 일에는 당연히 바뀌지 않는 도리가 있습니다. ... 살아있는 것이 반드시 죽게 되는 것은 만물의 필연적인 결과입니다. 부유하고 귀하면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고 가난하고 지위가 낮으면 벗이 적어지는 것은 일의 당연한 이치입니다. 당신은 혹시 아침 일찍 시장으로 가는 사람들을 본 적이 없습니까? 새벽에는 어깨를 맞대면서 앞다투어 문으로 들어가지만 날이 저물고 나서 시장을 지나는 사람들은 팔을 휘저으면서 시장은 돌아보지도 않습니다. 그들이 아침을 좋아하고 날이 저무는 것을 싫어해서가 아닙니다. 날이 저물면 마음속으로 생각했던 물건이 시장 안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 당신이 지위를 잃자 빈객이 모두 떠나가 버렸다고 해서 선비들을 원망하여 일부러 빈객들이 오는 길을 끊을 필요는 없습니다. 당신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빈객들을 대우하십시오."

 

만물의 도리일 뿐...일희일비할 필요없다.

 

반응형
반응형

"현재 순간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에서 물러선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라. 그저 '일어나고 있는 일은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받아들인다는 의미인 것이다. 또한 받아들인다고 해서 뭔가를 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다."

"마음챙김이란 깨어있음을 뜻한다. 현재 당신이 하고 있는 일을 안다는 뜻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우리가 자신의 마음이 신경쓰고 있는 일에 집중하려 할 때, 다시 바로 무의식 상태로 돌아가거나 인식이 개입하지 않는 자율주행 모드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흔하다. 이 같은 인식의 깜빡임은 대개 그 순간 우리가 보고 있거나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족의 소용돌이로 인해 생겨나며, 그런 불만족의 소용돌이에서 무언가가 달라지기 바라는 욕망, 상황이 바뀌길 바라는 욕망이 튀어나온다. 당신은 당신의 마음이 습관적으로 현재 순간으로부터 자꾸 도망치려 한다는 걸 직접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띠이이이이~~~~~~~잉.....
이 부분을 읽을 때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다. 지금 나의 상태와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육아를 하든 업무를 하든 현재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계속 다른 생각이 떠오르며, 현재하는 일에 대한 불만만 생각한다. 내가 깨어있지 못하고, 현재에 100%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현재에 대한 불만으로, 현재가 바뀌길 바라는 욕망으로 집중이 깨지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스스로를 향해 보고 느끼고 존재하라... 순간순간 체크하고 영원한 순간순간들에 계속 알아차림해 바로 지금 여기에 존재하면 되는 것이다."

바로 호흡이다.


" 그저 들어오는 숨과 나가는 숨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마음이 방황할 때는 그저 계속 호흡으로 되돌아오고, 호흡을 하면서 마음챙김의 순간들을 계속 하나로 엮어라."

"...다른 사람들을 보면서 당신이 정말 그들을 보고 있는 건지 아니면 그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보고 있는 건지를 자문해보는 것이다. ... 꿈같은 일자리, 꿈같은 동료들... 자신도 모르는 새에, 모든 것에 색깔을 입히고 그것들에 대해 멋대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봐야 우리가 사로잡혀 있는 꿈일 뿐이다. 그러나 그 안경을 벗는다면, 아마 지금 이 순간 여기 존재하는 것을 좀 더 똑똑히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의 불만, 욕망의 근원은 무엇일까. 나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금강경이 떠올랐다.

(https://flow-through.tistory.com/101)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눈에 보이는 현상은 모두 허망하니 만약 모든 형상이 형상이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

 

내가 세상을 보고 있는 것인지, 세상을 보는 나의 생각을 보고 있는 것인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