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535185

http://naver.me/GywGIEn9

 

[분양캘린더]코로나에도 분양시장 봄 바람부나…7600가구 공급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분양시장은 공급을 늘리며 조심스럽게 기지개를 피는 모습이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20년 3월 넷째 주 전국 11개 단지가

n.news.naver.com

 

3/23(월) 3월 23일
(접수)
강원 화천군 화천읍 화천신읍
3/24(화) 3월 24일
(접수)
경기 양주시 장흥면 송추북한산경남아너스빌
경기 파주시 파주읍 파주연풍양우내안애에코하임
인천 부평구 십정동 힐스테이트부평
인천 연수구 송도동 힐스테이트송도더스카이
대구 남구 봉덕동 봉덕2차화성파크드림
대구 중구 남산동 반월당역서한포레스트
전남 순천시 용당동 한양수자인디에스티지
3/26(목) 3월 26일
(접수)
서울 구로구 고척동 고척헤리움더원
충북 청주시 탑동 탑동힐데스하임
3/27(금) 3월 27일
(오픈)
서울 서초구 잠원동 르엘신반포
경기 수원시 망포동 영통자이
경기 안산시 원곡동 안산푸르지오브리파크
인천 서구 당하동 검단신도시우미린에코뷰
인천 서구 원당동 인천검단신도시3차노블랜드리버파크
대구 달서구 본리동 뉴센트럴두산위브더제니스
대구 중구 도원동 힐스테이트도원센트럴
경남 진주시 충무공동 진주혁신도시포레스트부영


르엘신반포는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14차 재건축 단지로, 지하 3층~지상 34층 3개 동 총 280가구 규모이며, 일반분양은 전용면적 54~100㎡ 67가구.

반응형
반응형

최근 유가급락에 따라 다우지수가 폭락을 한 적이 있다. 해외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수출중심국가인 우리나라의 코스피 역시 폭락하였다. 사우디 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석유 감산 합의에 실패하고, 대대적인 증산 계획을 밝히며, '석유 전쟁'에 돌입하였기 때문이다.

코로나 역시 현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유가는 어떠한 이유로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 석유 생산이 늘고, 석유 가격이 떨어지면 기름 한 방울 안나는 우리나라는 좋은 것이 아닐까? 이런 의문 점에서 이번 책을 고르고 읽기 시작하였다.

 아주 쉽고 흥미있게 쓰여진 책이다. 크게 3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공급 측면에서의 저유가 요인, 수요측면에서의 저유가 요인, 그리고 저유가의 문제 즉 오일 공포에 대해 이야기 한다.

1. 공급 측면에서의 저유가 요인
- 석유 공급은 이른바 '7공주파(seven sisters)'가 장악을 하고 있다. 이들은 바로 미국의 석유왕 록펠러의 스탠더드오일이 반트러스트법에 의해 쪼개지면서 생긴, 스탠더드오일 뉴저지, 스탠더드오일 뉴욕, 스탠더드오일 캘리포니아, 텍사코, 걸프오일, 로열더치쉘, BP 를 지칭한다. 이들은 록펠러 사후에도 사실상 석유를 독점하며, 오일의 공급과 가격을 좌지우지하다가, 1973년 OPEC(석유수출기국)에 의해 저지당한다. OPEC의 감산과 금수조치로 유가가 급등하며, 이른바 "오일쇼크'가 발생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이후에 OPEC은 갑자기 태도를 바꾸고, 감산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히려 1976년 사우디의 모든 석유거래를 달러로 결제하기로 미국과 합의한다. 이는 당시 흔들리던 달러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기에 미국에 유리한 합의였던 것이다. 사우디가 왜? 사우디는 대신 미국으로부터 아람코의 지분을 양도받고, 아람코를 100% 국유화하게 된다.
결국 석유 공급은 공급자들의 경제적, 정치적 이득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사우디의 공조와, 7공주파에 맞서 '신7공주파'가 등장한다. 이들은 OECD 회원국 외에 영향력이 큰 에너지회사들이며, 사우디 아람코, 가즈프롬, CNPC, NIOC, PDVSA, 페트로브라스, 페트로나스의 7개 기업이다. 이들은 각각 사우디, 러시아, 중국, 이란, 베네수엘라, 브라질, 말레이시아의 국영석유기업으로서 2000년대 고유가와 함께 이른바 'BRICs'시대를 이끌며 화려하게 등장한다. 그리고 시장 장악을 위해 가격을 낮추고, 먼저 쓰러지는 자를 차례차례 제거하는 그들간의 전쟁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2. 수요 측면에서의 저유가 요인
- 바로 탈석유시대의 등장이다.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은 천연가스 가격을 낮추고, 석유의존도를 낮추게 된다. 이는 다시 석유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켜, 석유의 공급과잉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세계 최강의 에너지 소비국 중국 역시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가스수입, 셰일 가스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리고 전기차의 등장이다. 증기기관차가 석탄의 시대를 열었고, 내연기관차가 석유의 시대를 열었듯이, 전기차는 새로운 에너지사이클 시대를 열게 될 것이다.

3. 저유가의 공포
- 그러면 저유가 어떻게 세계 경제에 영향을 주는가? 우선 국내적으로는 매출액이 유가에 연동되어 있는 중화학기업들의 매출이 감소하게 된다. 유조선과 시추선을 건조하여 이익을 취하던 조선업체들이 수주취소에 직면하게 되고, 정유업체들 또한 적자에 시달리게 된다. 세계적으로는 2015년 기준 GDP 8위의 경제대국 브라질이 위기에 처하게 된다. 브라질은 고유가 시대에 유전 채굴을 위한 막대한 투자를 하였는데, 저유가는 이 투자의 수익성을 낮추고, 투자를 심지어 부실하게 만든다. 그리고 브라질의 위기는 세계 어느나라의 위기처럼 직간접적으로 이어진 각국의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산유국들이 저유가로 위기에 처할수록 그들은 위기극복을 위해 더욱 석유 생산에 박차를 가할 것이고, 이는 다시 저유가를 심화시키는 악순환에 갇히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저자는 책을 마무리한다.

코로나와 저유가가 불러온 현재 경제위기는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

반응형
반응형

한신, 노관 열전

전담 열전

번, 역, 등, 관 열전

- 회음후 한신과는 다른 한왕 신의 이야기이다. 한신, 노관, 전담은 모두 유방이 중국을 통일하는 데에 기여하지만, 통일 후 토사구팽 당한다.

- 반면, 번쾌, 역상, 하후영, 관영은 젊었을 때부터 유방을 따른 무리들이며, 미천한 출신이었으나, 유방이 통일 후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

이로써 사기 열전 1권을 완독하였다. 849페이지 ㅋㅋ 코스모스의 기록을 갱신하였다.

기억에 남는 편은, 범저, 신릉군, 자객 열전, 회음후 열전 등이다.

내일부터는 사기 열전 2권 시작!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