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 손 트는 것을 막는 약은 한 가지인데, 한 쪽은 그것으로 영주가 되고, 다른 쪽은 무명 빠는 일밖에 못했으니, 똑같은 것을 가지고 쓰기에 따라 이렇게 달라지는 게 아닌가? 자네는 어찌하여 다섯 섬들이 박으로 큰 술동을 만들어 강이나 호수에 띄워 놓고 즐길 생각을 못 하고, 깊이가 너무 얕아서 아무것도 담을 수 없다고만 걱정했단 말인가? 자네는 아직도 작은 (일만 생각하는) '쑥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네 그려.

 

혜자가 장자에게 다섯 섬들이 박이 물을 담았더니 너무 무겁고, 쪼개서 바가지를 만들었더니 깊이가 너무 얕아 쓸 수 없다고 한탄하자, 장자가 반론하는 내용이다. 옛말을 따르면 '쓸모없음의 더 큰 쓸모(無用之大用)'이라 할 수 있고, 현대 경영학에 따르면 '발상의 전환'이라 할 수 있겠다. 어떤 상식적인, 또는 우리를 옭아매는 관습 등에 얽매여 "박"을 물을 담거나 바가지로만 본다면, 큰 도구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 장자는 그런 상식,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절대 자유이며, 그럴 경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더 큰 지혜에 다다를 수 있음을 말씀하시는 것 같다. 

 

14.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습니다. "나에게 큰 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사람들이 가죽나무라 하네. 그 큰 줄기는 뒤틀리고 옹이가 가득해서 먹줄을 칠 수 없고, 작은 가지들은 꼬불꼬불해서 자를 댈 수 없을 정도지. 길가에 서 있지만 대목들이 거들떠보지도 않네. 지금 자네의 말은 이처럼 크기만 하고 쓸모가 없어서 사람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걸세"

장자가 말했습니다. " ... 이제 자네는 그 큰 나무가 쓸모 없다고 걱정하지 말고, 그것을 '아무것도 없는 고을' 넓은 들판에 심어 놓고 그 주위를 '하는 일 없이(無爲)' 배회하기도 하고, 그 밑에서 한가로이 낮잠이나 자게. 도끼에 찍힐 일도, 달리 해치는 자도 없을 걸세. 쓸모 없다고 괴로워하거나 슬퍼할 것이 없지 않은가?"

 

앞에 내용에서 이어져, 혜자는 장자에게 장자가 하는 말들이 너무 허황스러워서 쓸모가 없다고 반박한다. 역사에서 어떤 선구자들이 행동을 하거나 아이디어를 냈을 때 그들을 비웃던 주변 사람들을 생각나게 한다. 그런 혜자에게 장자는 다시 한번, "발상의 전환"을 권한다. 쓸모가 없으니, 목수에게 베일 걱정도 없고 얼마나 좋으냐고 말이다. 혜자가 무릎을 탁 치는 장면이 상상된다.^^

 

1편 소요유(逍遙遊 )를 다 읽었으며, 내일부터는 2편 제물론(齊物論)을 읽을 계획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