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장.

강과 바다가 모든 골짜기의 왕이 될 수 있는 까닭은 스스로 낮추기를 잘하기 때문입니다.

백성위에 있고자 하면 말에서 스스로를 낮추어야 하고, 백성 앞에 서고자 하면 스스로 몸을 뒤에 두어야 합니다.


겸손은 수단이나 목적이 될 수 없고 누가 겸손해지고 싶다 하여 겸손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치 물이 스스로를 낮추는 것이 그 본성 때문이지, 어떤 외부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애쓰는 것이 아니듯 말이다. 오강남 선생님은 이렇게 아무런 사심이 없이 진정으로 자기를 낮추면 ‘결과적으로’ 자연히 위에 오르게 되고, 진심으로 자기를 뒷자리에 놓으면 ‘결과적으로’ 자연히 앞에 앉게 된다고 말씀하고 계시다.


67장.

세상 모든 사람 이르기를 나의 도는 크지만 쓸모 없는 듯하다고 합니다. 크기 때문에 쓸모없는 듯한 것입니다. 만약 쓸모있었으면 오래전에 작게 되고 말았을 것입니다.

내게 세가지 보물이 있어 이를 지니고 보존합니다. 첫째는 자애, 둘째는 검약, 셋째는 세상에 앞서려 하지않음 입니다.


큰 도는 너무 커서 평범한 사람들이 보기엔 오히려 쓸모없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런 도의 기본 원리로 자애, 검약, 세상에 앞서려 하지않음의 세 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언제나 처럼 상반되어 보이는 개념을 이어서 말씀하신다. 자애때문에 용감해질 수 있고 검약때문에 널리 베풀 수 있고 세상에 앞서려 하지 않기 때문에 큰 그릇들의 으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누구보다 용감하므로 자애로울 수 있고, 누구보다 널리 베풀 수 있기 때문에 검소한 것이며, 누구보다 앞 설수 있으므로 겸허히 누구보다 뒤에 있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