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책꽂이"라는 어플을 통해 읽은 책을 관리하고 있다. 돌아보니, 2018년에는 80권의 책, 1달 평균 6.7권의 책을 읽었다.

특히 1월에는 18권의 책을 읽었다. 사실 2018년은 1일 1권을 목표로 야심차게 독서를 시작한 한 해였다. 1, 2월은 인사모드라 그래도 많은 독서가 가능했으나, 인사 후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한 4월에는 1권 밖에 못 읽었으며, 8월에 다낭으로 가족휴가를 다녀온 후에는 리듬이 많이 깨져 9월에 3권밖에 읽지 못했다. 그래도 4월을 제외하고는 평균적으로 최소 주1권의 독서를 할 수 있어서 뿌듯하다.

 

올해 읽은 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아무래도 칼 세이건코스모스이다. 분량도 엄청났지만, 그저 과학책인 줄 알았는데, 인류를 포함한 우주의 모든 역사를 담은 책이었다. 내 자신이 이 책을 읽어냈다는 사실이 대견하다.

그리고 베스트셀러와 자기계발을 벗어나 읽기도전한 도덕경금강경 독서도 재미있었고 나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된 독서였다. 두 권의 책 역시 그저 듣기 좋은 말이 아닌 과학적인 내용과 이천년이 지난 지금에도 충분히 유용한 내용들이 많았다. 현재 읽고 있는 장자 읽기도 빨리 끝내야 하겠다.

 


연초 계획 대비 완수하지 못한 계획은, 좋아하는 책 1권 필사하기를 못했고, 대망료마가 간다다시 읽기로 계획했으나, 읽지 못한 점이다. 그리고 춘추전국이야기를 사놓고 읽지 못하였다.(춘추전국이야기를 구매할 때 받은 영웅술잔으로 술은 잘 마시고 있다^^;)

 

계획에 없던 독서로는 중간에 영어원서 읽기를 시작하였다. 이것을 포함하면 읽은 독서량이 10권정도 더 늘겠지만^^; 책의 분량이나 내용의 난이도나 양심상 포함할 수가 없다. ㅋㅋ 그래도 새로운 시도였으며, 내 자신이 기특하고, 당연히 2019년에도 계속할 것이다.

 

부족한 점은 분야가 자기계발서 위주로 집중된 점이다. 소설 분야 독서 2권이다.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2019년에는 소설도 좀 읽고, 경제경영 분야의 독서량도 늘려야 하겠다. 그리고 2019년에는 올해보다 독서량을 조금 더 늘려 주당 2권정도의 책을 읽어 100권정도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